"美·中 갈등 지속돼도 中 기술발전 흐름 꺾이지 않을 것"[2024 FIND·제25회 서울국제금융포럼 인터뷰] 언론사 : 파이낸셜뉴스 │ 보도일시 : 2024. 05. 13 |
---|
기사 원문 링크 : http://www.fnnews.com/news/202405131816097338 |
(下)브루스 창 중국남방자산운용 투자총괄
제재 많은 분야일수록 투자 기회 中테크·에너지·전기차 섹터 주목 고금리에 美국채 유용한 헤지수단 韓, 반도체 공급분야 등 비교우위 사진=박범준 기자 "중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가장 많은 제재를 받고 있는 기술 부문의 성장에는 끝이 없다. 현재 중국은 개혁개방 시기와 자본 집약 경제로의 도약을 넘어 소프트테크·하드테크 부문에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 주목할만한 섹터는 기술·에너지 기업과 이동통신사 등이며 해외에서는 중국의 전기차(EV) 섹터가 각광 받고 있다." 브루스 창 중국남방자산운용(CSOP) 투자총괄(사진)은 지난 4월 2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가진 파이낸셜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가장 제재를 많이 받는 중국 부문일수록 매력적인 투자 기회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주요 2개국(G2, 미국·중국)의 세계 패권 및 경제 주도권을 둘러싼 헤게모니 싸움에도 산업 공급망 업그레이드 및 소비 진작을 위한 중국의 기술 발전 흐름은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창 투자총괄은 고금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의 국채가 가장 좋은 헤지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한국의 경우 기술·반도체 공급 업체들이 시장에서 비교우위에 놓여 있어 기술·인공지능(AI) 주도 투자 측면에서 한국 시장이 유망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놨다. 다음은 창 투자총괄과의 일문일답. ―현재 중국에 투자할 시점이라고 봐도 되나. ▲전술적·단기적으로 봤을 때 중국에서 셀오프(sell off·투매)가 있을 때마다 투자자들이 중국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중국 시장에 대한 저평가 때문인데 결국 특정 부문이 성장 압력을 받게 된다. 일례로 소프트테크 부문의 경우 소비를 줄인다고 가정했을 때 외식·쇼핑 대신 온라인 쇼핑을 통해 소비를 하는 경향이 나타나 플랫폼 부문이 혜택을 본다. 반도체 제조업체 등 하드테크 기업의 경우에도 많은 제재를 받고 있지만 중국 중앙정부가 공공부문에 해당 기업의 제품·서비스 구매를 명령하고 민간부문에도 이를 촉진하는 보조 지원 정책을 통해 차세대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 즉, 전술적·전략적으로 저평가가 발생했을 때 국내외 기업 모두 혜택을 보는 섹터가 있다는 것이다. ―주목할 만한 섹터는 어떤 것이 있나. ▲장기 국가안보 청사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 기업과 에너지 기업이 있다. 에너지 기업에는 (석유, 가스 등) 전통적 연료를 사용하는 기업 뿐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발전사도 포함이 된다. 이동통신사도 중국 국내 정책의 수혜를 보고 있는 기업군이다. 해외에서는 전기차 섹터가 주목받고 있는데, 중국 전기차의 경우 동남아시아나 북아시아 쪽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싱가포르에서는 중국산 전기차인 BYD(비야디) 택시가 다니고 있고, 말레이시아와 태국도 중국이 전기차 시장을 확장하는 지역 중 하나다. 심지어 일본에서 BYD 전기차 광고를 하는 경우도 많다. ―중국도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중국 국영기업(SOE·State-Owned Enterprises)들은 펀더멘탈이 강한 반면 캐시플로우(현금흐름)가 그리 좋지 못해 밸류에이션도 굉장히 낮다. 이러한 SOE 기업들의 가치를 높여주기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에너지 기업의 경우 Capex(자본 지출·Capital expenditure)를 줄임과 동시에 에너지원이 가진 희소성의 영향으로 현금 흐름성이 좋지 않은 데다가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을 통해 SOE 부문의 에너지 기업이 미화 달러 기준으로 흑자를 내는 성과를 냈다. 한국 밸류업 프로그램 취지의 경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에 대한 지원을 기반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주식시장은 역사적으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흐름에 따라 매우 민감한 흐름을 보이는데,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는 '터닝포인트'인 올해 말 또는 내년 초를 기점으로 다시 재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고금리 장기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고금리 시기가 지속되면 당연히 미국 외 국가들은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시장 심리와 투자자들, 외환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이 보다 완화적인 정책을 펴기 위해서는 미국의 금리와 중국의 금리차를 나타내는 스프레드 차이가 너무 많이 나면 안 된다. PBOC가 양적완화 정책을 구사해 위안화가 평가절하된다고 해도 중국의 수출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아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안화가 평가절하되면 중국에 들어와 있던 자본이 바깥으로 탈출해 금융시장 안정성이 저해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중국은 외환시장 안정성 유지를 위해 노력하며 신중한 양적완화 정책을 펼 것이다. ―고금리 시기 어떤 전략이 필요하나? ▲고금리 시기 미국 주식시장은 모두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7대 대기업이 이끄는 구조다. 현재 AI 붐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삼성이나 TSMC 등 업스트림에 있는 기업들은 반드시 수혜를 볼 수 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를 연기해 현재 (고금리) 상황이 계속된다면 미국의 트레저리 본드(만기 10년 이상의 국채)가 가장 좋은 헤지 수단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한국은 저성장·저출산 등으로 성장 동력을 잃고 있다. ▲외부에서 보기에는 한국 상황이 그 정도로 암울하지 않다. 한국의 경우 삼성 등과 같은 기업을 포함해 기술 공급 측면에서 반드시 비교우위가 있다. 특히 반도체 공급 업체들의 비교우위도 존재하는데, 결국 기술 혹은 AI 주도의 투자 측면에서 한국 시장은 유망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한국과 일본의 경우 중국을 대신해 기술 성장 내지 산업의 공급망으로서 대체 선택지가 되고 있는 듯하다. 신흥 시장을 살펴보면 동남아나 인도가 중국을 대신해 떠오르는 각광지로 부상하고 있는데, 특히 인도의 경우 한국 기업이 저렴한 인건비나 유능한 인재들을 활용하고자 법인을 짓고 공장을 설립하는 모습이 포착된다. 한국과 중국 간 정치적 긴장이 있지만 서로 중요한 무역 파트너라는 점을 십분 활용한다면 공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
이전글 | "중국 17일부터 189조 국채 발행"에도…상하이 0.21%↓ [Asia마감... |
---|---|
다음글 | [fn마켓워치] 골드만삭스 대체투자사업부, 70억 달러 규모 '부... |